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중종실록] 겨울에 어린아이가 발이 잘린 채 버려져 있었다 3 2024.04.10 - [잡소리] - [중종실록] 겨울에 어린아이가 발이 잘린 채 버려져 있었다 2 지의금부사 유보(柳溥)와 동지의금부사 심언경(沈彦慶)이 아뢰기를, "한덕을 데리고 아이에게 가서 보이며 ‘누가 네 발을 잘랐는가?’ 하니 ‘한덕이다’ 하였습니다. 한덕과 중덕(仲德)을 같이 앉혀놓고 다시 ‘어느 사람이 네 발을 잘랐는가?’ 하고 물으니, 또 한덕을 가리켰습니다. ‘무엇으로 잘랐는가?’ 하니 ‘칼이다.’하였고, ‘어디에서 잘랐는가?’하니 ‘방안에서 잘랐다 하였으며 ‘언제 잘랐는가?’ 하니 ‘낮에 잘랐다. 두 손을 묶고 솜으로 입을 막았다.’ 하였습니다. 이로 보면 한덕이 한 짓이 틀림없어서 이제 한덕을 추문할 것으로 공사를 만들었는데, 계하(啓下)하셨습니다. 그러나 한덕의 초사(招辭)에 ‘지.. 2024. 4. 10.
[중종실록] 겨울에 어린아이가 발이 잘린 채 버려져 있었다 2 2024.04.10 - [잡소리] - [중종실록] 겨울에 어린아이가 발이 잘린 채 버려져 있었다 1 정원에 전교하였다. "상해당한 여자아이는 ‘어미가 내 발을 잘랐다.’고만 하고, 한덕은 ‘길가에 버려진 것을 거두어 기르다가 오래지 않아 도로 버렸다.’고 하여, 말이 각기 다르므로 믿을 수 없다. 한덕과 중덕을 아이가 있는 곳에 함께 가게 하여 ‘너를 기른 사람은 누구이며 너를 낳은 사람은 누구인가?’하고 물으면, 죄가 있는 자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덕은 이미 남에게 미룰 리가 없다. 여자아이는 옥정(獄庭)에 내올 수 없으므로 한덕과 중덕을 아이 있는 곳으로 보내어 자세히 힐문하라." ⇒ 발이 잘린 옥가이는 어미(한덕)이 자신의 발을 잘랐다고 주장하고 한덕은 길에 버려진 아이를 주워 기르다 다.. 2024. 4. 10.
[중종실록] 겨울에 어린아이가 발이 잘린 채 버려져 있었다 1 1. 중종실록 73권, 중종 28년 2월 16일 기축 3번째 기사 - 1533년 명 가정(嘉靖) 12년 한성부가 아뢰기를, "용산강(龍山江)의 무녀(巫女)의 집 뒤, 언덕길 옆에 5∼6세 되는 어린애가 두 발이 잘린 채 버려졌는데, 그 아이가 그때까지 죽지 않고 ‘나를 업고 가면 내 발을 자른 집을 가리켜 줄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만약 그 아이를 추문한 뒤 그 말에 관계된 자를 잡도록 하면, 반드시 자기가 한 소행을 깨닫고 도피할 것이니, 급히 아이와 함께 군사를 보내어 그 아이가 가리킨 집에 가서 체포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하니, 전교하였다. "그 일을 들으니 놀랍다. 그 아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죽을 것이니 신중히 간호하여 .. 2024. 4. 10.
사주팔자(四柱八字)가 아니라 오주십자(五柱十字) 명리학의 요체(要諦)인 사주팔자(四柱八字)를 설정하여 인사(人事)를 예견하는 것은 오랜 동양의 풍속이다. 천문에 대한 치밀한 관측과 경험을 토대로 역법(曆法)을 수립하고,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이 세분되면서 점차 명리학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명리학의 내용 가운데 하나인 오주(五柱)도 천문과 관계가 깊다. 사람이 태어난 시각에 태양이 머물고 있던 위치를 파악하면서, 사주에 영향을 주고 있는 별자리를 찾아내어 미래를 예견하는 일종의 사주(四柱) 보조수단이라 볼 수 있다. 사주(四柱) 보조수단으로써 잉태된 달이나 날 또는 시각의 간지를 활용하기도 한다. 달력 보급이 불가능했던 고대 사회에서 한 사람의 출생년도(出生年度)를 아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생년(生年) 하나의 기둥으로 한 사람의 운.. 2024. 4. 7.